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 이야기/국내주식

카나리아바이오 그룹작전 페이즈2 시작?

by 빠른거북이26 2023. 4. 27.

 

 

카나리아바이오 자회사 합병공시

 

한국에 새 대형 바이오그룹 탄생에 한 발 더 내디뎠습니다.

 

순서

1. 예상 이슈들

2. 카나리아바이오 의심에 대한 검증

3. 카나리아바이오 자회사 합병의미

 


카나리아바이오 관련 내용 참고

1~3. 기본 중요 내용들을 정리 했습니다.

1.  https://fast-turtle26.tistory.com/11

2. https://fast-turtle26.tistory.com/12

3. https://fast-turtle26.tistory.com/13

4. 자회사 합병 이슈 외 https://fast-turtle26.tistory.com/17

5. (번외) 세력 움직임? https://fast-turtle26.tistory.com/18

6. 그룹가완성 관련 https://fast-turtle26.tistory.com/26

7. 사이토반 CMO계약 외 https://fast-turtle26.tistory.com/30

8. 카나리아바이오 페이즈2 https://fast-turtle26.tistory.com/38

9. 나한익 IR 핵심이슈 정리 https://fast-turtle26.tistory.com/42

10. 1분기실적예상, 중간보고, 임상종료 등 https://fast-turtle26.tistory.com/45

11. 주가조작 혐의 구속수사 https://fast-turtle26.tistory.com/51

 

 


1. 예상 이슈들

 

카나리아바이오 예상 핵심 소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는 합병안처럼 약간 차이 날 수 있습니다.

 

1. 중동, 아시아, 유럽 등 판권계약

2. 자회사합병(공시됨. 2023.4.26.)

3. 7월 무증

4. 9월 말경 미 FDA 중간보고

5. CMO 사이토반스와 생산계약(5~6월쯤 나올 가능성도 존재)

6. 10 ~ 11월 모회사 카나리아바이오엠 역합병

 

물론 사이 임상관련은 2개 내외 더 나올 수 있습니다.

 


2. 카나리아바이오 의심에 대한 검증

 

카나리아바이오에 대한 의심은 크게 2가지입니다.

1. 약이 진짜인가?

2. (약이 진짜라는 가정하) 무자금으로 어떻게 전체 4천억 원에 달하는 오레고보맙 IP를 가질 수 있나?

 


약이 진짜인가? 검증

1번에 대한 의심은 바이오와 제약 회사들에 제기되는 끊임없는 이슈입니다. 결국 회사 핵심관계자만이 알고 마지막장에 도달해 봐야만 알 수 있겠죠.

 

  • 추정은 임상결과들을 보는 것
    • 임상 2 상 결과와 3상 해도 좋다는 검증 자료 중 하나인 DSMB(Data Safety Monitoring Board)의 심의 통과
  • 추가적으로 NDA((Non-disclosure Agreement, 기밀유지 계약) 계약을 9개 사와 맺고 카나리아바이오 실사 중이라는 내용입니다. 추가 2개 기업이 기밀유지 계약을 맺으려고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판권계약 전 실사가 마지막 단계로 판단 됩니다. 즉, 이르면 5월부터 판권계약이 연이어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물론 끝까지 의심을 한다면, 어차피 기밀유지계약을 맺고 발설 못하는 것 아니냐? 이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이 거짓이라면 사기사건이 되므로, 이야기는 반드시 흘러나올 것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오레고보맙의 IP는 누가 어떻게 갖는가?

 

오레고보맙은 '온코퀘스트'라는 회사가 오랫동안 개발해 왔습니다. 오레고보맙 단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해 임상2, 3상을 연속 실패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후 업계전문가의 조언을 받아들여 다른 항암제와 병용 임상을 진행해 현재까지 나온 난소암 치료제 중 가장 눈에 띄는 효과를 입증해 내고 있습니다. 

 

오레고보맙을 다른 항암제와 병용 시 암이 추가적으로 더 성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지표인 PFS가 비교 대상 항암제 가 12개월 전후, 오레고보맙을 추가 시 약 42개월을 보였습니다.

다른 면역항암제나 다른 경쟁사 약들은 낮게는 12개월, 대부분 18개월 ~ 20개월 남짓입니다. 높게는 1개의 조합이 37개월까지 나온 걸로 보입니다.

근데 여기서 핵심중 하나는 오레고보맙의 면역항암제는, C-125 항원 혹은 암지표자를 활용해 T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전(매커니즘)은 유일하다는 점입니다. 즉, 모든 조합으로 넓혀 갈 수 있다는 점이 최대 장점입니다.

지금도 이와 관련되어 임상 1, 2상 진행 중인 게 몇 가지 됩니다. 앞으로 추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오레고보맙의 IP를 카나리아바이오엠(카나리아바이오의 모회사)이 약 4천억 원에 인수를 합니다. 이후 다시 자회사인 카나리아바이오로 넘기는데 그냥 넘기는 것이 아니라 LSL씨엔씨와 자회사인 MH씨엔씨라는 형태로 넘깁니다.

 

오레고보맙 IP는 MH씨엔씨가 가지고 있으면서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온코퀘스트-오큐피바이오(자회사) ▶ 카나리아바이오엠 ▶ 카나리아바이오 - LSL씨엔씨(자회사) - MH씨엔씨(손자회사)

 

손자회사인 MH씨엔씨가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어 많은 투자자들이 불안해 한것이고 신뢰를 못 한 것이죠. 또한, 돈없이 어떻게 인수한 것이냐 이죠. 이를 설명해주는 것 중하나가 작년 2022년에 카나리아바이오가 자회사를 합병을 하려고 하니 반대를 한 주주들이 있었습니다.

 

왜 반대를 했을지 의아하죠?

 

그게 어제 많은 공시들에서 제대로 알려지고 이제 다음 단계로 간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3. 카나리아바이오의 자회사 합병 의미

완전한 IP흡수

어차피 손자회사에서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으면 되지 않느냐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을 받기는 어렵습니다. 할인요인으로 작용할 것이 뻔하고, 비효율적인 관리가 될 것입니다.

 

MH씨엔씨가 가진 핵심 오레고보맙 IP를 내부관리 되는 영역까지 들어오게 된것 입니다. 이는 대표인터뷰에서도 나오는 내용입니다.

 

 


 

다음 단계 시작

무자본에 가치 있는 무형자산인 오레고보맙의 무형자산을 흡수하려고 하니 많은 돈을 어디에선가 가져와야만 했겠죠?

  • 1. 카나리아바이오 제2회 차 신주인수권부사채(BW) 취득 후 재매각 공시(2023.4.20.)
  • 2. 스텝포워드가 전환사채권을 2023.4.19. 행사 후 2023.4.26. 공시   
스텝포워드는 처음등장하는 14명으로 구성된 투자조합입니다. 그런데 이 조합원에 카나리아바이오엠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이제 오레고보맙의 무자본 흡수가 상당 부분 완료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전환사채권 4, 5, 6회를 모두 행사한 것으로 나왔습니다. 채권 금액은 총 600억 원입니다. 모두 전환되어 총 10.26%의 카나리아바이오 지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7월에 1:2의 무상증자를 실시해 가치에는 변화가 없지만 주식수를 3배 늘립니다. 충분한 유통주식수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카나리아바이오엠의 역합병을 위한 한 단계를 더 나아간 것입니다.

 

 

새로운 바이오 그룹의 탄생

개인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한국에 새로운 대형 바이오그룹의 탄생이 아닌가입니다.

물론 단순 관계사로 남을 수 있지만 어떻게 만들어가는지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지주사 
    • 온코퀘스트/SL씨엔씨
  • 그룹핵심 
    • 카나리아바이오
  • 그룹 투자 
    • 리더스기술투자
  • 연구 자회사 
    • 헬릭스미스
      • 자금만 지속 공급된다면 새로운 파이프라인이 제법 발생할 수 있는 기업으로 보입니다.
      • 문제는 지속적인 대량의 자본 확보
  • 한국 제약유통 
    • 세종메디칼
  • 생산:
    • CMO기업 사이토반스

 

여기에서 '리더스기술투자'의 투자에 따라 관계사는 지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지 않을까 판단됩니다. 지금 진행되는 것들도 있고요.

 

이 가정은 둘 중 하나로 판단 됩니다.

1. 주가조작 세력들의 큰 사기 그림이거나

2. 오레고보맙을 중심으로 기업을 퀀텀 점프 시키거나

 

당연히 개인적으로는 2번 가정이 확인되고, 항암제 하나로 글로벌 바이오그룹의 탄생을 바라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가정들은 2023.9. 말경 예상되는 미 FDA 중간보고에 9할 이상이 걸려있다고 보입니다. 임상 2상과 3상의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1상과 2상은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습니다. 임상 시험의 성격들이 달라서 입니다.

 

눈여겨볼 포인트는 미 FDA 중간보고에서 임상을 멈춰도 될 정도의 데이터가 나오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