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4.25. 화요일에 주가조작 영향이 좀 길어져서 1시간 만에 9개 회사를 깊이는 파악하기 어려웠고, 임기응변으로 대응을 했었습니다. 방법과 자세한 내용은 이전글 참고(https://fast-turtle26.tistory.com/14)
2023.4.28. 금요일 주가조작 종목 9개 회사(CJ, 다올투자증권, 하림지주, 세방, 다우데이타, 삼천리,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선광) 중 CJ는 이미 이벤트성 할인은 없어서인지, 제외한 8개 종목이 기업의 가치와는 상관없이 널뛰기를 하는 장세가 펼져졌습니다. 관련내용 참고 (https://fast-turtle26.tistory.com/27)
하림지주가 예상보다 규모가 커서 사업보고서 읽고 핵심자회사들 살펴보고 글적는데까지 3시간이 넘게 걸린 것 같습니다.
현재 생각중인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CJ는 이벤트성 수익가능성이 없어 제외)
1. 하림지주(1차 평가, 2023.4.30.)
2. 다올투자증권(1차 평가, 2023.4.30.)(https://fast-turtle26.tistory.com/28)
3. 세방(1차 평가, 2023.5.1.)(https://fast-turtle26.tistory.com/21)
4. 다우데이타(1차 평가 2023.5.2.24:00)(https://fast-turtle26.tistory.com/22)
5. 삼천리(1차 평가, 2023.5.2.)(https://fast-turtle26.tistory.com/23)
그 외 3개 회사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선광' 들은 제 평가기준에서는 터무니없는 기업가치로 보여 이번 분석에서는 제외시켰습니다. (수익성 기준입니다. 자세히 자산은 어떤지, 신규사업등은 있는지 등은 판단하지 않았음)
- 2023.5.2. 화요일 주가조작종목 장세 총평
지난 금요일 기업가치와 상관없이 바스켓으로 사고파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오늘(2023.5.2.)부터는 디커플링이 일어나 각기업의 가치를 찾아가는 하루 였습니다.
하림지주 1차 개인평가 핵심요약
- 단기 : 긍정과 부정이 섞여있어 투자자에 따라 적정가 범위로 평가할 수 있는 가격
- 여러 요소를 감안한 per는 4가 조금 넘는 정도
- 지주사로서 사람에 따라 싸다, 적정 가다 정도로 양분될 듯, 비싸다고는 잘 안 할 듯합니다.
- 안전마진은 단기적으로 크지 않음
- 이번 돌발상황으로 큰 할인이 되지 않았다면, 굳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이벤트는 발생했음.
- 이벤트 효과가 소멸되면 신중할 필요는 있어 보임
- 장기 : 중장기적 투자관점에서 포트구성은 좋은 선택으로 현재는 판단됩니다.
- 그룹이 핵심사업의 계열화가 잘 갖춰져 시너지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 곡물(유통) → 사료 → 축산(가금/양돈) → 도축가공 → 식품제조 → 유통판매
- 실제 매출증가가 전체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 전사업이 확장국면으로 보입니다.
- 수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변경 시 큰 상승은 가능해 보입니다.
- 그룹이 핵심사업의 계열화가 잘 갖춰져 시너지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 추가 : 이벤트 효과 소멸 후 중/단기는 물동량, 운임지수 등만 추적하세요.
- 팬오션이 전체 영업이익의 87%를 차지합니다.
- 나머지 약 11%는 사료입니다.(제일사료 지분 88%, 비상장사)
- 고정비개선 혹은 물류/유통관련 이슈가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매출대비 수익성악화는 정부규제나 압박, 경쟁과열 등 여러요소가 복합적일 것입니다.
- 단지, 사업특성들을 고려해보면 물류, 유통이 개선되면, 주요계열사 매출들이 대부분 1조 원을 넘습니다. 상당한 순익증가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순서
1. 사업영역
2. 사업부문별 매출과 영업이익(2022)
3. 단기 기업가치평가
4. 추가고려사항
1. 사업영역
하림지주는 생각보다 굉장히 많은 국내외 회사들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하림하면 닭만 떠올리고 있었는데, 이번 계기로 들여다보니 주요 계열사들은 시너지가 잘 발휘되도록 구축 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관련 파생사업들도 손을 대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네요.
핵심사업은 곡물(유통), 사료, 축산(가금/양돈), 도축가공, 식품제조, 유통판매 등곡물의 수확 이후부터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전 과정을 직접 가능한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하지만 비주류 사업까지 들여다보면, 조금이라도 관련 있을 것 같은 분야는 거의 다 손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테면, 동물병원, 육우사육업, 농업축산 기자재 제조, 환경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부동산 임대업, 기타 금융업 등 상장 5개 사와 비상장 78개(국내 47개 기업)를 거느린 대기업이네요.
상장기업
- 총 5개사(괄호, 지분율)
하림지주, 팬오션(54.7%), 하림(57.4%), 선진(50.0%), 팜스코(56.3%)
핵심기업 간략정리
- 지주회사
- 하림지주
- 사업포트폴리오 관리, 자회사들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 수립 및 비전 제시, M&A를 통한 신사업 발굴, 투자 타당성 검토 등을 주 업으로 함
- 하림지주
- 가금사업
- 식품(닭, 오리) 가공/사육
- 주요 회사
- (주)하림, (주)올품, (주)싱그린에프에스, (주)한강식품, (주)주원산오리 등기업
- 사료사업
- 사료 가공/판매
- 주요 회사
- 제일사료(주), (주)선진 사료부문, (주)팜스코 사료 부문, (주)하림펫푸드
- 양돈사업
- 양돈 사육 가공/판매
- 주요 회사
- (주)선진 양돈 및 계열화부문, (주)팜스코 양돈 및 계열화부문
- 유통사업
- TV홈쇼핑, 전자상거래
- 주요 회사
- (주)엔에스쇼핑, (주)글라이드
- 해운사업
- 화물운송 선박관리
- 주요 회사
- 팬오션(주), (주)포스에스엠
- 종합식품
- 식품 제조/판매
- 주요 회사
- (주)하림산업, (주)에이치에스푸드, (주)하림푸드
2. 사업부문별 매출과 영업이익(2022)
- 하림지주 사업부문별 매출과 영업이익(출처 : 하림지주 사업보고서)
사업부문 | 매출(2022) | 영업이익(2022) | |||
금액(백만원) | 비중(%) | 금액(백만원) | 비중(%) | ||
사료 | 3,298,417 | 20.83 | 98,580 | 10.78 | |
식품 | 가금 | 2,255,104 | 14.24 | 34,879 | 3.82 |
양돈 | 2,353,327 | 14.86 | -11,183 | -1.22 | |
운송 | 6,780,711 | 42.82 | 792,128 | 86.65 | |
유통 | 606,720 | 3.83 | 28,652 | 3.13 | |
기타 | 476,453 | 3.01 | -75,502 | -8.26 | |
지주업 및 투자 | 63,540 | 0.40 | 46,605 | 5.10 | |
소계 | 15,834,272 | 100.00 | 914,159 | 100.00 | |
내부거래 제거 | -2,058,976 | 27,147 | |||
합계 | 13,775,296 | 941,306 |
2020년, 2021년 매출을 보아도 각 자회사들이 큰 성장 중입니다. 단지, 매출증가대비 영업이익이나 순이익증가폭이 크지 않거나 제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위 표에서도 보이다시피, 영업이익의 약 98% 육박하는 수치가 운송과 사료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2023년 하반기, 2024년 최소 상반기까지 글로벌 불경기 여파에 충격이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글로벌 물동양이 감소하면 핵심 자회사인 팬오션 수익이 악화될 가능성은 큽니다.
시간이 없다면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 하림지주가 아닌 팬오션을 매수하거나 매매하기(팬오션도 비싸보이진 않았습니다.)
- 종합포트폴리오를 믿고 투자한다면 단기적으로는 팬오션 실적을 추적하며 하림지주를 매매하기
물동량지수나 운임지수 등만을 살펴보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3. 단기 기업가치 판단
계열사 영업이익 | 계열사 순이익 | 하림지주 영업이익 | 하림지주 순이익 | 하림지주 외(영업) | 하림지주 외(순익) |
9,413억 원 | 5,690억 원 | 466억 원 | 278억 원 | 8,947억 원 | 5,412억 원 |
개인적으로는 하림지주 자체 순이익은 100%를 반영시키고, 계열사 순이익은 할인적용을 합니다.
지주사는 통상적으로 60% 이상을 할인 적용을 합니다. 저는 보수적으로 70~75%를 할인적용 합니다. 제일사료는 이익기여도 측면에서 의미있고, 지분율도 88% 이상인 자회사임 고려해 약간의 가산을 했습니다.
지주회사를 할인하는 이유는 직접사업을 하고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지분법에 따라 계열사의 수익을 반영합니다.
지주회사는 보통 자회사들로부터 브랜드 사용 로열티, 컨설팅비용, 배당 등을 통해서 수익을 발생시킵니다.
그 외에는 자회사의 돈이라고 마음대로 가져다 쓰거나 할 수가 없습니다. 어떤 의미에선 그림의 떡입니다. 단지, 특정시점에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 이벤트로 인해서 자회사를 판다면 수입이 크게 들어오게 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모두 감안해 임의의 할인율을 적용시킵니다. 평가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발생합니다.
하림지주의 현재 시총(2023.4.28. 종가기준) 약 1조 500억 원입니다. 할인율을 적용한 순수익을 2500억 원을 잡았습니다. 4 per가 조금 넘는 값이 도출됩니다.
지주사가 아닌 기업이 수익을 2000~3000억 원 이상을 버는데, 4 per면 굉장히 싼 것입니다. 안전마진 50% 이상, 크게는 이슈에 따라 2배 이상 강하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지주사로서 종합적으로 고려 시, 투자자에 따라 적정가네 혹은 조금 싸네 정도로 느낄 수 있는 가격입니다.
4. 추가고려사항
각 자회사 사업보고서를 살피며 판단하면 가장 좋겠지만, 시간적 여력이 없어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와 재무적 요소만 보고 판단평가 했음을 먼저 밝힙니다.
- 매출 증가 대비 수익이 크게 성장하지 않았습니다. 순이익은 오히려 매출대비 줄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팬오션
- 2021년, 2022년을 보면 수익이 큰 폭으로 성장 이후 정체되어 있습니다.
- 2023년 하반기, 2024년 상반기까지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높아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 선진
-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그에 비해 수익은 하락했습니다.
- 경쟁이 치열한가라고 판단되었습니다.
- 브랜드가치를 높이거나, 고정비를 줄이거나, 유통의 혁신 등이 필요해 보입니다.
- 경쟁이 치열한가라고 판단되었습니다.
-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그에 비해 수익은 하락했습니다.
- 하림
- 매출과 수익성이 둘 다 좋아지는 중입니다
- 단지, 마진율이 너무 낮습니다. 최근 개선된 영업이익률이 3%대입니다.
- 그룹 내 수익대비 지주회사 가치에 크게 보탬이 되지 않습니다.
- 팜스코
- 매출은 증가 중입니다.
- 영업이익률은 굉장히 낮고, 매출 증가대비 수익성은 악화하고 있습니다.
-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2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 부채비율이 200% 이상으로 금리상승에 따른 금융비용증가일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입니다.
- 대부분 하림기업이 국내외를 모두 다루고 있어 환율의 영향가능성도 있습니다.
- 2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 팬오션
- 계열사들 전반적인 매출증가세는 가파릅니다. 그에 비해 수익악화원인 평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공격적인 광고나 할인행사를 많이 하는 것인가?
- 추가 성장을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인가?
- 하림지주의 구축된 계열사를 보면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 매출증가대비 수익개선이 미미한 이유중 하나가 유통일 수 있습니다.
- 하림지주가 물류센터인가 기사를 본적이 있는 듯합니다.
- 잘 활용된다면 매출증가세에서 수익개선으로 연결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하림지주가 물류센터인가 기사를 본적이 있는 듯합니다.
하림지주는 시간을 두고서 2차 추가분석을 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 단기보다, 핵심계열사들을 조금씩 더 분석해 보면 왜 매출대비 수익은 악화되는지 등의 의문이 풀릴 것이고 그럼 다음 상승모멘텀이 발생할지 아닐지 등이 가늠될 것 같습니다.
보는 종목이 많아 정확한 기약은 어렵지만, 2차 추가분석 기업목록에는 넣어놔야겠습니다.
모두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혹시, 궁금하신 점이나 분석필요하신 종목들은 댓글이나 비밀댓글 달아주세요~
'투자.경제 이야기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조작 종목 3. 세방 분석(전략)(기업분석 #4) (0) | 2023.05.01 |
---|---|
주가조작종목 2.다올투자증권 분석(PF리스크)(기업분석 #3) (0) | 2023.04.30 |
주가조작종목 9개 기술적반등(삼천리, 세방, 서울가스, 하림지주, 다올투자증권 등) (2) | 2023.04.28 |
카나리아바이오 그룹 가완성 (카나리아바이오엠 거래정지) (2) | 2023.04.28 |
카나리아바이오 주포(세력?) 막전막후(번외 편)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