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 이야기/국내주식

주가조작 종목 3. 세방 분석(전략)(기업분석 #4)

by 빠른거북이26 2023. 5. 1.

 

2023.4.25. 화요일에 주가조작 영향이 좀 길어져서 1시간 만에 9개 회사를 깊이는 파악하기 어려웠고, 임기응변으로 대응을 했었습니다. 방법과 자세한 내용은 이전글 참고(https://fast-turtle26.tistory.com/14)

 

2023.4.28. 금요일 주가조작 종목 9개 회사(CJ, 다올투자증권, 하림지주, 세방, 다우데이타, 삼천리,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선광) 중 CJ는 이미 이벤트성 할인은 없어서인지, 제외한 8개 종목이 기업의 가치와는 상관없이 널뛰기를 하는 장세가 펼져졌습니다. 관련내용 참고 (https://fast-turtle26.tistory.com/27)

 

현재 생각중인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CJ는 이벤트성 수익가능성이 없어 제외)

1. 하림지주(1차 평가, 2023.4.30.) (https://fast-turtle26.tistory.com/19)

2. 다올투자증권(1차 평가, 2023.4.30.)(https://fast-turtle26.tistory.com/28)

3. 세방(1차 평가, 2023.5.1.)

4. 다우데이타(1차 평가, 2023.5.2. 24:00)(https://fast-turtle26.tistory.com/22)

5. 삼천리(1차 평가, 2023.5.2.)(https://fast-turtle26.tistory.com/23)

 

그 외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선광은 실적대비 터무니없는 가격을 이미 받고 있어 1~2 시간씩 볼 의미를 찾지 못해 분석하지 않았습니다.

 

  • 2023.5.2. 화요일 주가조작종목 장세 총평
지난 금요일 기업가치와 상관없이 바스켓으로 사고파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오늘(2023.5.2.)부터는 디커플링이 일어나 각기업의 가치를 찾아가는 하루 였습니다.

 


기술적반등 이벤트가 종료 시 세방전지(주)를 공략하는 것이 나을 수 있음

 

세방 핵심요약

1. 매출증가대비 실적향상 한계 명확

  • 매출원가가 90% 넘음
  • 할인요인으로 작용

2. 세방보다 종속 및 관계사의 성장이 더 중요

  • 세방의 수익개선의 한계는 명확
  • 세방전지(주) 자회사 세방리튭배터리(주)가 그룹차원에서 중요

3. 이벤트성 주가흐름이 끝난다면 굳이 세방보다는 세방전지(주) 공략이 나은 수익을 제공할 수 있음

  • 세방을 투자자에 따라 시총 5,000억 원 전후까지 가치부여가능(2023.4.28. 시총 약 3,500억 원)
  • 세방전지(주)의 리튬배터리 사업부문 성장초입인데, 굳이 세방보다 세방전지(주)의 수익이 나을 수 있음

 


순서

1. 세방은 어떤 회사?

2. 세방 개별/연결손익계산서

3. 보수적 가치평가

4. 실적대비 가치평가

 


1. 세방은 어떤 회사?

세방은 상장된 주요 관계사로 세방전지(주)를 두고 있고, 그 외 비상장 37개사를 종속회사 및 관계사로 두고 있습니다.

 

세방전지(주)는 납축전지 대명사 중 하나인 '로케트 배터리'를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하지만, 알다시피 전기차로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2차 납축전지의 수요는 감소하고 있고 실적에도 그대로 반영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변화에 맞춰 세방전지의 97.22%의 지분으로 설립된 세방리튬배터리(주)를 통해 2022년 1분기말부터 리튬배터리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룹의 성장에 중요한 지위를 갖고 있어 성공여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세방은 항만하역사업 및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등을 주로 영위하며 항만하역사업은 1위 업체입니다.

 

사업분야

  • 벌크 하역
  • 컨테이너 운송
  • 벌크 및 내수운송
  • 중량물 운송 및 설치
  • 물류센터 운영

 


 

 

2. 세방 개별/연결 손익계산서
  • 세방 개별손익계산서(출처: 세방 사업보고서, 단위 : 억 원)(소수점 첫자리 반올림)
  2022 수익대비 (%) 2021 수익대비(%) 2020 수익대비(%)
수익(매출액) 7,086   6,210   5,773  
매출원가 6,409 90.4 5,674 91.4 5,281 91.5
매출총이익 677 9.6 536 8.6 492 8.5
판관비 432 6.1 369 5.9 365 6.3
영업이익 245 3.5 166 2.7 127 2.2
순이익 394   176   97  
기타포괄이익 75   26   4  
총포괄손익 469   202   101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2.7%라는 큰 매출 상승이 있습니다. 그에 비해 수익성 개선은 미비함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원가가 90%는 기본으로 넘고 판매 및 관리비를 제하면 영업이익이 2.2%에서 3.5% 수준으로 개선되는 것에 불과합니다.

 

즉, 세방이라는 회사 본업자체 프리미엄을 주기는 어렵고, 오히려 할인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단지, 관계사 중 세방전지의 성장에 따라 세방그룹의 가치평가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영업 외 수익이 들쑥날쑥하게 발생합니다.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알기는 어려워 제외시키고 계산을 합니다.

 

 

 

  • 세방 연결손익계산서(출처: 세방 사업보고서, 단위 : 억 원)(소수점 첫자리 반올림)
  2022 수익대비 (%) 2021 수익대비 (%) 2020 수익대비 (%)
수익(매출액) 12,904   10,577   8,422  
매출원가 11,682 90.5 9,639 91.1 7,664 91.0
매출총이익 1,222 9.5 938 8.9 758 9.0
판관비 770 6.0 646 6.1 594 7.1
영업이익 451 3.5 292 2.8 164 1.9
순이익 1,056   524   326  
기타포괄이익 99   18   4  
총포괄손익 1,155   542   330  

세방의 연결손익의 가장큰 부문은 세방전지로 부터 발생합니다.

 

 


 

3. 보수적 가치평가
  • 세방 본업에서 지속가능한 부분만을 계산한 세후 순이익
    • 약 210억 원
  • 종속 및 관계사에서 지속가능산 부분만을 계산한 후 70% 할인 적용한 순이익
    • 206억 원
  • 합 416억 원
    • 보수적인 평가이며, 영업 외 투자수익 등을 대부분 제외 시킨 수치

2023.4.28. 종가기준 시총 3,487억 원입니다.

 

보수적인 계산 약 8.3 per

 


 

4. 실적대비 가치평가

이런 부분은 영업 외 수익도 일정 부분 지속될 수 있음을 가정한 평가입니다. 지속여부 판단은 어려워 30% 할인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 세방본업에서 순이익 328억 원
  • 종속 및 관계사의 순이익에 70% 할인율 적용한 순이익 205억 원
  • 합 533억 원
영업 외 인정 시 약 6.5 per

 

 

 

분명 비싼 회사는 아니지만, 성장성 부분에 한계가 명백합니다. 할인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싸다고만 할 수 없는 적정가범위 하단에 개인적으로 위치한다고 보입니다.

 

자회사와 손자회사의 성장성에 의해 세방의 가치는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벤트성을 제외한다면 할인율은 크지 않고, 최대 시총 5,000억 원 내외까지는 투자자에 따라 인정할 수는 있을듯합니다.

 


 

이벤트성 주가 흐름이 끝난다면, 세방보다는 세방전지가 더 매력적으로 부각될 수 있습니다. 오히려, 세방전지에 관심가지는 것이 나은 대안일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