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경제 이야기44 #3. 2023년 경제위기를 투자기회로(Part2 2부 살벌한 한국) 어느 때보다 쉽지 않은 장세의 연속입니다. 이유 중 하나가 분명한 방향성을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하락하면 인버스라도 투자를 할 텐데, 추가적으로 더 내리자니 펀드맨털상 너무 저평가 구간에 이미 진입을 했고, 오르자니 글로벌 침체로 추가 하락의 여지가 커 하락압박을 받고 있다는 점이죠. 이런 경우에는 양방향 포지션을 잡고서 기준점 위로 올라가면 매도, 기준점 아래로 내려가면 매수 등으로 박스권 대응을 하면서 매수 매도의 텀을 가능하면 짧게 잡고 가는 것이 좋긴 합니다만 시원한 수익을 기대하긴 분명 어려운 환경입니다. 경제와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참 어렵다고 느끼면서도 직감적으로 다음의 기회가 가까웠다고 느끼는 것이죠. 현 상황을 정리하고 어떠한 과정으로 이 위기가 전개되며 투자자에겐 어.. 2023. 1. 5. #2. 2023 경제위기를 기회로 (Part 2 1부 미국) 우선 2022.12.28. 기준으로 현재 상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부는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사이클을 이해하고, 2부는 좀 더 체감되고 진짜 살벌해지는 한국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2022년 12월 말 ~ 2023년 1월 2일 사이쯤 포스팅될 것 같습니다.) 앞에서 Part1에서 패권전쟁,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적으로 천문학적 유동성 공급 등의 복합적인 이유의 결과 2022년을 마무리하는 현재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미국 및 주요국 물가 폭등 미국을 중심으로 설명 우선 표 1은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CPI를 최근 3년을 정리한 것인데 보면서 이야기드리겠습니다. (표 1) 2020y ~ 2022y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CPI) 전년대비(미국 인플레이션) 발표일 CPI(%) 발표.. 2022. 12. 29. #1. 2023년 경제위기를 투자기회로 (Part1 상황 요약) 투자자며 직장인이며 자영업 하시는 분들이며, 심지어 중소기업을 넘어 대기업 계열사들까지 곡소리가 나는 시기입니다. 대외적으로는 외교문제, 글로벌 신냉전체재, 미중패권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길어지는 전쟁, 그리고 이러한 이슈들로 인해 파생되는 여러 문제들이 산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었던 고금리의 시작. 한국은 3.25%이며, 미국은 4.25~4.5%로 불과 1년남짓 만에 0%대 금리에서 지금까지 가파르게 오른 역사상 두 번째 일로 알고 있습니다.(2022.12. 기준) 발생의 원인은 분명 다양할 수는 있습니다. 경제학자가 100명이면 다른 의견 100개도 나올 수 있습니다. 심지어 이미 벌어진 결과해석을 놓고서도 말이죠. 따라서, 이는 제가 바라보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 2022. 12. 28. #1. 주식투자(Intro.) : 우리는 왜 결국 돈을 잃을까? 많은 이유가 분명 복합적으로 존재할 텐데 오늘 저는 2가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심리 타이밍 사실 두 가지가 투자에서는 짝꿍처럼 붙어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심리가 잘 못된 타이밍에 참여를 이끈다고 보긴 합니다. 한국예탁결제원(KSD)에서 22년 3월에 배포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주식을 보유한 사람의 수가(한 명이 여러 종목을 가지고 있으면 1명으로 계산) 2021년에는 전년대비 50% 이상 증가해 1,380만 명이 넘습니다. 한국인만 그리고 개인투자자들 추정은 1,000만 명이 넘을 것입니다. 관련 뉴스기사 많이 보도되었죠. 결산연도 회사수(개사) 소유자수(명) 1인당 소유종목수 1인당 소유주식수 2017 2,147 5,059,013 3.94 14,743 2018 2,216 5,611.. 2022. 12. 23. 이전 1 ···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