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 이야기/국내주식

제이엔케이히터 미래사업부 수소 매력적?(기업분석 #8)

by 빠른거북이26 2023. 5. 7.

순서

1. 사업부

  • 산업용가열로 부문
  • 수소사업부 부문

2. 수익성분석

3. 평가


미래사업을 하고 있으나 아직은 시기상조! 더 뜸을 들이자.

핵심정리

1. 수소사업부고 꾸준히 실적을 상승시킬 것으로 예상

  • 2022년 매출 약 300억 원 발생
  • 2025년 수소사업부 단독 1,000억 원 가능해 보임

2. 매출원가율이 90% 내외로 수익성이 좋지 않음

  • 매출증대되며 개선되어도 85% 전 후가 맥시멈으로 보임

3. 현재 주가는 예상가능한 2025년 전후까지 고려서 싸진 않음

4. 장기적으로는 주시할 필요는 있지만, 충분히 익기 전까지 테마형성 시 트레이딩만 추천

 

 


1986년 대림엔지니어링(현 DL E&C)에서 시작하여 1998년 9월 28일에 당사를 독립설립한 회사입니다.(출처 : 사업보고서)

 

 

1. 사업부 개요

많은 일을 정관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핵심 사업부는 2가지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산업용가열로 부문(FH)

  • 산업용가열로
    • 정유/석유화학 플랜트 설계, 제조, 시공
    • 주요 매출처 : 한화토탈(주), 현대오일뱅크(주), S-OIL(주), 삼성엔지니어링(주), SK에코플랜트(주), GS건설(주), DL E&C 등
  • 큰 비중이 해외에서 발생(아래 참조)(참고 : 케이엔케이히터 사업보고서, 2023)
제품 판매 실적(별도)
2022(억 원) 비중(%) 2021(억 원) 비중(%) 2020(억 원) 비중(%)
산업용 가열로(Fired Heater) 국내 198.3 11.9 276.1 28.3 891.2 55.1
해외 1361.5 81.5 691.4 70.8 719.1 44.5
소계 1559.9 93.4 967.5 99.0 1610.2 99.6
기타 11.1 0.7 9.5 1.0 6.8 0.4
총계 1671.0 100.0 977.0 100.0 1617.1 100.0
  • 산업용가열로 부문이 매출이 고르지는 못 하지만 최근 5개년을 보면 보통 1100억 원 이상의 평균치는 꾸준히 보이고 있습니다.

 

 

2) 수소사업 부문

  • 수소추출기, 수소충전소
    • 수소추출기/수소충전소 설계, 제조, 시공, 운영 및 유지보수
      • 사업주 직접 판매 : 지자체, 지자체 산하 기관, 공공기관의 입찰을 통한 판매
        • 강원테크노파크, 대전테크노파크, 부산시청, 부산테크노파크, 창원산업진흥원, 서울에너지공사 등
      • EPC 대행기관을 통해 판매 : 한국가스기술공사, 수소한업협회 등 수소충전소 EPC대행 기관 통해 판매
        • 주요 매출처 : 한국가스기술공사 등
    • 시장점유율(2022년 매출기준)
      • 수소추출기 20%
        • 국내최초 3개 구축, 1개 구축 중
          • 상암 수소충전소, 속초 수소충전소, 창원 수소생산기지
          • 동부산 버스차고지 1300kg/day 용량 구축 중
      • 수소충전소 25%
        • 25개 충전소 완료(2022 기준)
        • 30개 충전소 진행 중
    •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2025년까지 1,000억 원의 매출을 목표
      • 2020년 이후 실적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
      • 전체 매출의 15.1% 를 차지할 만큼 성장
        • 목표대로 2025년까지 1,000을 달성한다면 40~50%를 차지 할 것
  • 구체적인 매출을 아래 참조(참고 : 제이엔케이히터 사업보고서, 2023)
제품 판매 실적(별도)
2022(억 원) 전체대비( %) 2021(억 원) 전체대비( %) 2020(억 원) 전체대비( %)
수소추출기/
수소충전소
국내 297.0   173.4   42.0  
해외 - - - - - -
총계 297.0 15.1 173.4 15.1 42.0 2.5

 

  • 천연가스개질형 수소추출기 제품, 현재 250kg/day, 500kg/day, 650kg/day 표준 상용모델 공급
    • 1,000 ~ 3,000 kg/day 공급모델 준비 중
    • 블루수소생산기지 사업 참여를 위한 준비 중
현재는 수소생산의 70~75%가 천연가스개질형으로 수소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수소를 그레이수소라고 부릅니다. 공장이 많은 산업단지에 뿌연 회색을 연상하면 어떤 개념인지 와닿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굉장히 많은 co2가 배출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고자 크게 2가지 방향으로 글로벌 산업계는 나아가고 있습니다.
1.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고 활용 저장하는 방식)
   이렇게 생산된 수소를 '블루수소'라고 합니다.

현실적이며 궁극적인 그린수소 전의 가교역할을 합니다.

2. 재생에너지(풍력, 태양열, 조력 등)에서 발생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
  이렇게 생산된 수소를 '그린수소'라고 합니다. 궁극적으로 전 세계가 나아가고 있는 방향입니다.

 


2. 수익성분석
  • 최근 3년 손익계산서(출처 : 제이엔케이히터 사업보고서, 2023)
  2022(억 원) 비중(%) 2021(억 원) 비중(%) 2020(억 원) 비중(%)
매출액 1971.0   1312.6   1918.6  
매출원가 1764.6 89.5 1185.8 90.3 1681.3 87.6
매출총이익 206.5 10.5 126.8 9.7 237.3 12.4
판관비 137.2 7.0 113.4 8.6 167.9 8.8
영업이익 69.3 3.5 13.4 1.0 69.4 3.6
당기순이익 73.9 3.7 33.3 2.5 22.6 1.2
총포괄손익 71.8 3.6 36.8 2.8 22.8 1.2

 

전체적으로 매출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90% 전 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높은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십 년간 영업을 해왔다고 하지만, 그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너무 낮습니다. 이는 매출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개선할 여지는 커 보이지 않습니다.

 

위 수주들을 보면 대부분 관공서 중심입니다. 이는 경쟁이 치열하면 보통 7~8%, 보통은 10 ~ 15% 전후의 매출총이익을 보이는 편입니다.

 

 


 

3. 평가

수소사업부에서 2025년까지 매출 1,000억 원 목표가 조금 높지만, 납득이 가능한 수치입니다. 

 

2020년부터 25개의 충전소 기준 총매출액이 512억 원을 조금 넘습니다. 크기에 따라 가격이 다를 것이지만 자세한 자료는 없어, 1개 충전소 평균 단가를 기준을 계산해 보면 약 20.5억 원입니다.

 

현재 진행 중인 것이 30개라고 보고되었으므로 예상매출은 약 615억 원가량입니다. 2024년 혹은 2025년 정부의 사업계획에 따라 충분히 가능은 해 보입니다.

 

 2025년 영업이익이 150억 원 전후 나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산업용가열로 매출이 가변적이므로 해당 사업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현재 실적대비 가치평가는 per 21.7배, 2025년 예상 실적 대비 13배 전후로 예상됩니다.

 

수익성이 좋은 회사는 아니므로 2~3년 치 실적을 가져와야 적정가 범위라면 현재는 고평가로 판단되며, 수소연료전지와 관련된 테마 형성 시 반짝 모멘텀을 즐기는 것이 중, 단기로는 적절해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블루수소의 생산 공급등의 추가 확장이 되면 실적모멘텀이 주어질지는 주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해당회사를 보면서 생각보다 글로벌적으로 수소경제에 진심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도 크게 다르진 않습니다.

 

단지, 설명을 많이 생략했지만, 아직 성숙되지 않은 기술들과 인프라로 인해 시간이 2030년 전 후 경쟁력 있는 수소생태계가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가의 움직임은 몇 년 전부터 움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