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경제 이야기/국내주식

키움증권 이익82%증가에도 왜 하락? 대응?(기업분석#.11-2)

by 빠른거북이26 2023. 5. 10.

순서

0. Intro.

1. CFD부실채권화 이슈를 본격적으로 뿌림

2. 최근 8 거래일 폭증한 대차거래와 공매도 금액

3. 결론

 

 


공매포지션으로 눌림원인 예상. 리스크감안해도 싸다! 분할매수 대응!

 

 

0.Intro.

저는 어제 (2023.5.9.)일을 마치고 저녁 10시 남짓부터 글을 쓰기 시작해 2023.5.10. 0시 30분 전후 글을 완료했던 것 같습니다.

참고 : https://fast-turtle26.tistory.com/35

 

키움증권 영업이익 82% 폭증, 평가 및 주의?(기업분석 #11.)

다올투자증권 30% 상승, 키움증권 어닝서프라이즈 급히 증권주 포트 1순위 적극 고려대상 순서 0. intro. 1. 키움증권은 어떤회사? 2. 손익분석 3. 평가 4. 주의사항들 핵심요약 1. 다올투자증권 역시

fast-turtle26.tistory.com

 

글을 쓰며 상승가능성을 높게 예측을 했고, 갭상승은 낮으면 2~3%, 높으면 4~5%를 예상했었습니다.

 

결국 2%대 갭상승으로 시작했지만, 주가는 야금야금 흘러내렸네요.

 

2023.5.10. 종가 -0.22%

 


 

1. CFD 부실채권화 이슈를 본격적으로 뿌림
  • 이미 몇몇 유튜버분들 사태 몇일 뒤부터 해당이슈를 재기했었음

 

저 역시 투자자들의 원금은 물론 빚진 규모가 작지 않다는 것을 보고, 투자모임에 해당이슈가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일단 키움증권은 보류하자고 의견을 냈었습니다.

 

즉, 이미 대부분 예상하고 있었으며, 그 규모도 1개 증권사당 많아야 1천억 원 내외 일 것으로 예측이 보이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굉장히 구태한 이유로 언론에 새벽부터 뿌리기 시작했습니다.

 

아침에 기사들을 보면서 오늘 눌릴 가능성이 있겠다 싶었습니다. 설마하면서도 지켜봤는데 역시나 힘 한번 제대로 펼쳐보지 못하고 흘러내렸습니다.

 

 


 

2. 최근 8거래일 폭증한 대차거래와 공매도 금액

 

2023년 대차증감수량 종가(상승/하락%) 대주누적증가액(억 원) 공매도액(억 원)
4월 26일 +48,594 97,200(-2.11) 47.2 13.7
4월 27일 +29,362 95,600(-1.65) 75.3 32.7
4월 28일 +35,176 93,700(-1.99) 108.3 38.5
5월 2일 +94,983 91,100(-2.77) 194.8 4.2
5월 3일 -37,411 90,100(-1.01) 161.1 11.8
5월 4일 -13,815 89,000(-1.22) 148.8 14.4
5월 8일 -420 91,700(+3.03) 148.4 8.6
5월 9일 -6,478 91,200(-0.55) 142.5 6.8
5월 10일 집계전 91,000(-0.22) 집계전 7.8

 

 

 

금일(2023.5.10.)까지 공매도 누적액은 약 140억 원에 이릅니다. 대차 한(빌린 주식) 잔고도 오늘은 아직 보고가 안되었지만 142.5억 원으로 거의 일치합니다.

 

키움증권은 이전 편에서도 기술했지만, 매력적인 종목중 하나여서 장기투자하는 물량이 많습니다. 실유통물량이 30% 훨씬 못 미치고, 오늘 같은 날에도 12만 주의 거래량도 안됩니다. 대부분이 10만 주 이하 거래량을 보입니다.

 

폭락 직전 2023.4.14. 종가기준 109,400원에서도 공매도는 많아야 3억원, 적으면 보통은 1~2억 원 수준임을 감안하면 폭락이 시작되고 며칠 후부터 공매도를 할 수 있는 대차거래가 급증하였습니다.

 

 


 

3. 결론

일개 저와같은 개미도 CFD부실채권은 1회성이며 키움증권이 감당하고도 남는다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100% 부실화로 대손충당금을 2,000억 원을 잡아도 2023년 1년 실적은 작년과 비슷한 실적이거나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8,000억 원에서 CFD 대손충당금으로 2,000억 원을 차감해도 6,000억 원의 순이익을 기대합니다. 2023년.

 

 

지금은 분명 가장 어두운 기간을 거쳐가고 있다고 판단을하고 금리인상이 곧 멈출 것입니다. 턴어라운드가 내년부터 혹은 2023년 4분기 전후부터 변곡점을 지날 가능성을 높게 봅니다.

 

 

 

금일 주가는 공매도 세력의 공매포지션으로 판단

 

경기가 턴어라운드한다는 말은 IB의 실적이 개선되고, 증권거래가 활성화되고, 저축은행도 부실채권이 줄어들며 수익개선여지가 생기는 등 영업환경은 개설될 것으로 봅니다.

 

그럼에도 2가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어제도 언급했지만, 키움증권 사용자의 이탈

2. 부동산 PF, CFD 등 영역에서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

 

 

어떤 1~2회 충격이 올지, 혹은 오지 않을 지 알 수 없으므로 대응은 분할매수가 적합하다고 판단합니다.

 

 

일정주기마다 분할매수로 대응이 적합하다 판단

 

개미는 분명 힘은 없고,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불안요소가 몇 가지 있으므로, 할인을 하는 시기에 분할 매수로 대응하는 것이 1년 이내 큰 수익을 줄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