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태광 어닝203% 폭증 but 하락, 왜?(#12.기업분석)
(주) 태광은 매력적, but 조선 및 플랜트 수주 확인 후 투자 결정
핵심요약
1. 한국 3대 피팅업체들(하이록코리아, 성광벤드, 태광)의 실적고공행진 중
- 모두 서프라이즈임에도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성광벤드를 제외하면 모두 주가흐름은 지지부진
- 경기침체예상과 중국 조선사의 약진이 영향 미치지 않았을까 싶음
2. 3사 모두 매출과 영업이익률 증가하고 큰 개선
- 공장가동률이 70~80% 대인데 서프라이즈를 기록함
- 3사의 시장장악으로, 가격 결정권을 3사의 피팅업체가 가진 것으로 추정
- 성광벤드와 하이록코리아는 원재료 상승해 실적개선 된 것 처럼 보이는 면이 있지만, 태광은 그 효과는 작아보임
3. 매출증가 및 수익성, 실적대비 주가 등 모두 매력적
한국 3대 피팅업체
- 하이록코리아 (참고:https://fast-turtle26.tistory.com/34)
- 성광벤드 (참고: https://fast-turtle26.tistory.com/33)
순서
1. (주)태광은 어떤 회사?
2.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
3. 생산실적 및 가동률
4. 손익분석
5. 평가
1. (주)태광은 어떤 회사?
태광은 1982년 8월 1일 태광벤드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1년 3월 지금의 태광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주)태광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해 초대형 피팅제조기술을 기반으로 석유화학/정유/가스플랜트, 화력/원자력발전/담수, 해양구조물/ 조선 등 각종 플랜트용 피팅류의 핵심기술을 보유하여 국내외 유수의 플랜트 건설사와 조선소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출처 : (주) 태광 홈페이지)
태광의 계열회사는 2개입니다.
타법인 지분투자는 여럿 보이지만 의미있는 투자사나 관계사는 파운드리서울(주)와 (주) 에이치와이티씨 입니다. (2023.3.31. 기준, 출처 : 분기보고서)
회사명 | 사업부문 | 상장여부 | 지분(%) | 매출(1분기)(억 원) | 당기손익(억 원) |
(주) 태광 | 플랜트용 기자재 | 상장 | 45.02(특수관계자) | 731.5 | 186.0 |
파운드리서울(주) | 부동산 임대 외; | 비상장 | 91.67(태광) | 2.3 | -1.3 |
(주)에이치와이티씨 | 2차전지용 기자재 | 상장 | 37.86(태광) | 105.4 | 25.5 |
2.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
- 플랜트용 기자재 가격변동추이(태광, 출처 : 2023. 1분기 분기보고서, 원, KG)
사업부문 | 품목 | 2023. 1분기 | 2022 | 2021 | |
플랜트용 기자재 | Carbon | Pipe | 2,123 | 2,117 | 1,607 |
Plate | 1,488 | 1,468 | 1,090 | ||
Stainless | Pipe | 8,461 | 7,553 | 6,642 | |
Plate | 6,080 | 6,117 | 3,676 | ||
기타 | 5,530 | 6,438 | 4,303 |
위에서 보시는바와 같이, 전반적으로는 2021년에서 2022년 넘어오면서 가격변동이 좀 있었지만, 2023년 들어서 가격이 안정화된 양상을 보입니다. 일부는 오히려 가격이 내리기도하거나 비슷합니다.
- 2차전지용 기자재 가격변동추이(천원, EA)
사업부문 | 품목 | 2023. 1분기 | 2022 | 2021 |
2차전지용 기자재 | 초경합금 | 168 | 131 | 105 |
특수강_SUS420J2 | 52 | 46 | 46 | |
특수강_분말하이스 | 49 | 55 | 74 | |
부자재_Bearing | 9 | 10 | 13 | |
부자재_Ball roller | 9 | 8 | 8 | |
부자재_표준부품 | 13 | 5 | 3 |
초경합금만 2021년 부터 2년동안 약 50%나 인상이 되었고, 부자재_표준부품은 심지어 4배가 넘게 올랐습니다. 얼마나 큰 비중으로 사용이되는지 혹은 원재료가격인상 폭을 오롯이 제품가격에 전가할 수 있는가가 굉장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3. 생산실적 및 가동률
- 플랜트용 기자재(태광)(출처 : 2023.3.31. 태광 분기보고서. 억 원)
사업부문 | 품목 | 2023. 1분기 | 2022 | 2021 |
플랜트용 기자재 | Elbow | 323.0 | 948.5 | 761.4 |
Tee | 96.4 | 300.0 | 310.3 | |
Reducer | 41.5 | 113.0 | 104.4 | |
기타 | 18.9 | 88.6 | 78.1 | |
합계 | 479.7 | 1450.1 | 1,254.2 |
가장큰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이 'Elbow'로 나옵니다. 2021, 2022년은 4분기의 합산이므로 1년의 매출입니다. 그에비해 1분기 매출은 작년 대비 30%가량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타를 제외하면 대개 30% 전 후의 매출증가가 일어났습니다.
- 2차전지용 기자재(에이치와이티씨)(출처 : 2023.3.31. 태광 분기보고서. 억 원)
사업부문 | 품목 | 2023. 1분기 | 2022 | 2021 |
2차전지용 기자재 | PX-SHAFT 등 | 68.7 | 256.1 | 228.4 |
합계 | 68.7 | 256.1 | 228.4 |
자회사의 매출은 근소하게 10%가량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1분기 가동률
사업소(사업부문) | 당기가동가능시간/점포 | 당기실제가동시간/점포 | 평균가동률(%) |
본사(태광) | 666.5 | 481.67 | 72.27 |
화전(태광) | 666.6 | 479.18 | 71.89 |
파운드리서울(주) | 6 | 6 | 100.00 |
(주)에이치와이티씨 | 620 | 565 | 91.13 |
파운드리서울(주)는 부동산회사이므로 임대가 다 되면 100%로 인식될 것이므로 논외로 합니다.
인상적인것은 태광의 본사와 화전 사업소의 공장가동률이 70%를 겨우 넘기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작년보다 더 많은 실적을 올리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위 원가상승추이를 보면, 2023년으로 넘어오며 대부분의 원가가 비슷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주)태광은 상당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적당한 마진을 붙일 수 있는 지위에 있는 것으로 예상됩니다. 매력적입니다.
4. 손익분석
- 개별포괄손익
2022 | 비중(%) | 2021 | 비중(%) | 2020 | 비중(%) | |
매출액 | 2,135.6 | 1,485.2 | 1,884.0 | |||
매출원가 | 1,494.1 | 70.0 | 1,248.0 | 84.0 | 1,693.0 | 89.9 |
매출총이익 | 641.5 | 30.0 | 237.2 | 16.0 | 191.1 | 10.1 |
판관비 | 198.4 | 9.3 | 165.0 | 11.1 | 218.1 | 11.6 |
영업이익 | 443.1 | 20.7 | 72.2 | 4.9 | -28.1 | -1.5 |
당기순이익 | 352.2 | 16.5 | 119.9 | 8.1 | -47.5 | -2.5 |
총포괄손익 | 360.2 | 16.9 | 127.1 | 8.6 | -37.2 | -2.0 |
- 연결포괄손익
2022 | 비중(%) | 2021 | 비중(%) | 2020 | 비중(%) | |
매출액 | 2,497.4 | 1,851.5 | 1,884.0 | |||
매출원가 | 1,754.5 | 70.3 | 1,485.2 | 80.2 | 1,693.0 | 89.9 |
매출총이익 | 743.0 | 29.8 | 366.3 | 19.8 | 191.1 | 10.1 |
판관비 | 289.5 | 11.6 | 231.0 | 12.5 | 222.2 | 11.8 |
영업이익 | 453.5 | 18.2 | 135.3 | 7.3 | -31.1 | -1.7 |
당기순이익 | 367.8 | 14.7 | 185.5 | 10.0 | -50.4 | -2.7 |
총포괄손익 | 376.4 | 15.1 | 193.2 | 10.4 | -40.0 | -2.1 |
2020년은 코비드19의 글로벌적 발생으로 특수한 1년으로 감안은 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원재료값의 폭등과 제대로된 영업이 어려웠던 점 등을 감안하면 적자전환했지만 선방한 것으로 보입니다.
바로 2021년부터 흑자로 전환을 했습니다.
원재료가격의 변동추이가 안정되면 매출 1,350억 원 전 후가 적자전환되는 매출이지 않을까 추정합니다. 매출액이 2,150억 원 전후가 공장가동률 72%인 것을 감안하면, 공장가동률 40~45% 전후까지도는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매출총이익이 30%라니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보통 서비스업이나 인터넷 등이면 모를까, 제조업으로서는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또한, 공장가동률이 겨우 70% 남짓이였음에도, 증가된 매출과 개별기준 영업이익이 20%를 초과합니다. 아직 추가공장 증설이 없이도 최대 1년에 1000억 원 남짓까지 영업이익이 가능 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람들이 눈여겨보거나 유행타는 업종이 아니지만, (주) 태광을 포함한 한국의 피팅3업체 상당한 경쟁력을 갖춘게 아닌가 싶습니다.
5. 평가
2023.5.16. 종가기준 17,190원입니다. 시총은 4,555억 원입니다.
2023년 1분기 실적도 예상보다 높은 서프라이즈를 시현했습니다.
연결매출액은 839억 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71%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99억 원으로 203% 증가, 순이익은 208억원으로 144.4% 증가되었습니다.
지금 추세이면 700 ~ 800억 원정도의 영업이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3대 피팅업체 모두 실적이 폭등을 했고, 모두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그럼에도 성광벤드만 2일 좋은 흐름을 보였지만 계속 이후에는 계속 썩 좋지 않은 흐름의 연속입니다.
2025년까지 현재의 상황은 이어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정합니다. 그럼 굉장히 매력적인 종목이 됩니다. 그럼에도 투자하기에 조금 더 알아볼 것이 있어 보입니다.
최근 중국 조선이 많이 살아나며 수주의 70% 이상을 가져갑니다.
한국 메이저 조선 3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수주잔고와 납기 기간등을 추가로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추가로 플랜트 수주현황 등까지 알아본다면 과감히 투자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은 같습니다.
(주)태광 자체는 굉장히 매력적, 조선 및 플랜트 수주잔고 확인 후 결정